728x90
반응형
태극기 게양 위치 및 방법
태극기는 언제 달아야 할까요?
국경일 :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장 기간 : 국가적으로 중요한 인물이 서거했을 때, 정부 주관으로 진행하는 장례기간
정부에서 별도로 정한 날 태극기를 달면 됩니다.
태극기의 게양 위치
가정집에서는 건물 밖에서 봤을때 왼쪽에 게양하면 됩니다. 대문의 기둥이나 베란다 난간에 태극기봉을 비스듬하게 달거나 깃대를 이용해 달면 돼요.
관공서나 기업 학교에서는 건물 정면 중앙 또는 왼쪽 ( 왼쪽이 국가 상징을 위한 위치 라고 합니다. )
여러 나라 국기를 함께 계양할 경우에는 태극기를 가장 중앙에 놓고 가장 높게 위치해야 합니다.
태극기는 게양하는 시간도 정해져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07시부터 해질때까지 게양을 하며, 조명시설이 있거나 공공기관에서는 24시간 게양이 가능합니다.
기쁜 날에는 봉 끝까지 올려서 달며, 조의를 표하는 슬픈 날에는 세로길이의 1/3 만큼 내려서 게양합니다.
1. 깃대 끝까지 올려서 정상적으로 게양하는 날
날짜 | 의미 |
3월 1일 | 삼일절 (3.1운동 기념) |
7월 17일 | 제헌절 (헌법 제정 기념) |
8월 15일 | 광복절 (독립 기념) |
10월 1일 | 국군의 날 |
10월 3일 | 개천절 (한민족 최초 국가 건국 기념) |
10월 9일 | 한글날 ( 한글 창제 기념 ) |
2. 조기 게양하는 날
- 국가적인 애도의 의미를 담아 조의를 표하며 깃대의 끝에서 1/3 정도 내려서 반기로 게양
날짜 | 의미 |
6월 6일 | 현충일 ( 전몰 장병과 호국 영령 추모) |
국장기간 | 전/현직 대통령 서거 등 국가적 애도 기간 |
국가 애도의 날 | 국가적 재난이나 주요 인물 별세 시 정부 지정 |
- 국가 애도의 날은 2014년 세월호 참사 / 2022년 이태원 참사 / 2024년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등이 있었습니다.
우리 아이들과 태극기도 만들어보고 태극기 게양도 해보고 그 의미도 이야기 나누며 역사적인 사실을 알려주면 아이에게 좋은 영향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우리에게도 역사적인 교육도 되고, 애국심 또는 우리가 국가와 민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728x90
반응형